전쟁으로 연료·식품가격 급등 영향…BIS "새 인플레 시대 맞은 듯"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전 세계 물가가 치솟으면서 다수 선진국에서 물가 상승률이 5%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전쟁을 계기로 원유와 식량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세계 경제를 '새로운 인플레 시대'로 몰아가고 있다.13일 외신에 따르면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동월보다 8.5% 급등해 1981년 12월 이후 40년여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 등 에너지 가격이 32%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미국의 평균 휘발유 가격도 지난달 11일 갤런당 4.33달러까지 껑충 뛰어올랐다.국제 유가는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기준으로 3월 정점을 기록한 뒤 최근 안정되는 추세지만 올해 들어서만 이미 약 35% 올랐다.미국 천연가스 선물 가격도 올해 86% 치솟았다.앞서 한국의 3월 물가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는 4.1% 올라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4%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이 지난달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석유류의 물가 상승 기여도(1.32%포인트)를 포함한 공업제품의 물가 상승 기여도가 2.38%포인트에 달했다.
특히 석유류의 물가 상승 기여도가 2월 0.79%포인트에서 0.53%포인트나 확대됐다.
전쟁 여파로 러시아·우크라이나가 핵심 생산지인 밀과 같은 주요 식량의 공급도 차질을 빚으면서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밀값은 약 42%, 대두는 약 26%, 옥수수는 약 30% 각각 급등했다.
이에 따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3월 식량가격지수(FFPI)도 전달보다 12.6% 뛰어오른 159.3포인트를 기록, 2개월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런 물가 상승세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선진국 경제 중 물가 상승률이 5%를 넘는 국가의 비중이 60%에 달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최대라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선진국 경제는 대개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로 설정하고 있는데, 현재 물가는 목표치의 2배 이상을 훨씬 웃돌고 있는 셈이다.
예컨대 3월 소비자물가가 독일은 7.3%, 이탈리아는 6.7% 각각 올랐다.
영국은 2월 물가상승률이 6.2%로 3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블룸버그가 이코노미스트들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영국의 3월 물가상승률은 6.7%로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 회원국인 유로존의 3월 소비자물가도 7.5% 올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신흥시장은 선진국보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BIS에 따르면 신흥국 절반 이상이 물가상승률이 7%를 넘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 터키는 올해 들어서 50%대를 웃도는 물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브라질은 3월에 물가가 11.3%, 인도는 6.95% 각각 뛰어올랐다.
중국과 일본의 소비자 물가는 이례적으로 안정된 모습이지만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은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에 그쳤지만,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8.3%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일본은 지난달 정부 조사에서 향후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해당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2.7%로, 2014년 이후 가장 높게 나왔다.
아구스틴 카스텐스 BIS 총재는 "우리는 새로운 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은 것 같다"면서
"높은 인플레이션을 일으킨 요인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지난주 말했다.
<출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