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JBG Logistics

해운 물류 뉴스

메일

美서안항만 적체에 동안 물동량 폭증

조회 1,675

JBG로지스틱스 2022-03-30 00:00

점유율 격차 13%p로 좁혀져
 
 
북미 서안 항만의 적체가 장기화하면서 북미항로 도착지 항만의 점유율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미국 통관조사기관인 데카르트데이터마인에 따르면 올해 2월 미국에서 수입한 아시아발 컨테이너 물동량은 169만3700TEU를 기록, 1년 전 145만5100TEU에서 16% 성장했다. 

하지만 서안지역 항만이 처리한 물동량은 4% 늘어난 93만5700TEU에 그쳤다.
 
미국 양대 항만인 로스앤젤레스(LA)항과 롱비치항은 각각 1% 감소한 40만TEU, 제자리걸음한 33만2000TEU를 신고했고, 오클랜드항도 -1%의 역신장을 냈다. 

미 서안항만 중 증가곡선을 그린 곳은 북서항만얼라이언스(NWSA) 결성한 시애틀·터코마항뿐이다.
 
두 항만은 합산 50%의 폭증세를 보였다. 

이와 비교해 주요 동안지역 항만은 38% 늘어난 66만1000TEU를 처리하며 훨훨 날았다.
 
동안을 대표하는 뉴욕항이 25% 급증한 23만1000TEU를 처리한 것을 비롯해 서배너 노퍽 휴스턴 찰스턴 등도 최대 90%에 이르는 폭증세를 띠었다. 
 
 
이 같은 흐름은 점유율 변화로 이어졌다.
 
미 서안항만의 점유율은 지난해 2월 62%에서 올해 2월 55%로 7%포인트(p) 급락했다.
 
LA항 점유율은 4%p 하락한 24%, 롱비치항 점유율은 3%p 하락한 20%에 머물렀다. 

오클랜드도 1%p 떨어졌다.
 
서안항만 중에선 시애틀·터코마항만  확장세를 보였다.
 
반면 미 동안 항만 점유율은 33%에서 39%로 6%p 급등했다. 뉴욕 서배너 노퍽 등 대부분의 동안항만이 1~2%p씩 점유율을 올렸다. 

동서안 희비 교차는 서안항만의 물류 적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LA·롱비치항 적체는 지난해 말부터 올해 1월까지 대기 선박이 100척을 넘어서는 등 심각한 수준을 보였다. 

체선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화주들은 일제히 북미 최대 관문인 서안항만을 피해 미 동안으로 목적지를 옮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 서안에 위치해 있지만 혼잡이 덜한 시애틀·터코마항도 대체 항구로서 제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분석이다. 
 
<출처 : 코리아쉬핑가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