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JBG Logistics

해운 물류 뉴스

메일

HMM 파업 보류…산업은행 "임단협은 노사 문제로 개입 불가"

조회 2,646

JBG로지스틱스 2021-08-28 21:44

"노사 협의 이후 사후관리 측면서 관여할 것"
국민혈세 7조 투입한 HMM, 경쟁사와 비교 무리
HMM 파업 현실화 가능성 적다는 분석도
 
썸네일 이미지
 
HMM 노조가 파업 카드를 꺼낸 데는 사측과 임금인상률에 대한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다.
 
노조는 '임금 25% 인상과 성과급 1200%' 안을 고수하고 있고,
사측은 '임금 5.5% 인상과 격려금 100%'에서 '임금 8% 인상과 격려·장려금 500%'를 제시했다.
 

이런 가운데 산은 '책임론'을 둘러싸고 논란이 분분하다.

 

산은이 HMM의 지분 25%를 소유한 최대주주이자 채권단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산은은 "임단협은 노사가 해결할 문제로 원칙상 산업은행이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은이 HMM 노사 간 임금협상에 관여하지 않는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산은은 HMM 외에도 대우조선해양 등 다른 부실기업을 관리하고 있는데, HMM 노사 간 문제에 개입할 경우 구조조정 기업 관리 원칙이 무너질 수 있다.

 

산은 관계자는 "우리가 관리하는 구조조정 기업이 많은데 HMM에 개입시 모든 기업의 노사 문제에 관여할 여지를 주는 것"이라며

"노사 임금협상에 대해 산은이 관여한다는 것은 원칙상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노사의 원만한 합의 이후 결론이 도출되면 자금관리나 사후관리 측면에서 코멘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다만 노조가 주장하는 임금 인상률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어렵다는 늬앙스도 감지된다.

 

HMM이 국민혈세 7조원을 투입한 부실기업이기 때문이다.

 

HMM에 들어간 공적자금은 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합해 6조8000억원이며, 그중 회수한 공적자금은 1000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산은 관계자는 "HMM 노조가 단기실적을 명분으로 기본급을 경쟁사 수준으로 올려달라고 하는데,

국민 혈세가 약 7조원이나 들어간 관리회사와 정상기업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노조의 투쟁 이면에는 물러설 수 없는 명분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HMM 육상직원과 해상직원은 각각 8년, 6년 동안 임금이 동결됐다.

 

최근 소폭 인상이 이뤄졌지만, 그간 동결한 임금을 보상받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한편 HMM 노조의 파업 결정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도 있다.

 

정부 관계자는 "파업 결정은 협상력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부분"이라고 말했다.

 

<출처 : 뉴스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