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주·유럽항로 선박 12척 투입
- 중소·중견기업 운임 지원 확대
정부가 글로벌 운임 상승과 선박 부족으로 ‘물류 대란’을 겪는 부산신항에 대체 장치장을 운영하기로 했다.
컨테이너 임시 보관 장소를 화주에 제공해 부산신항의 수용 마비 사태를 막고,
고운임과 물류 적체에 직면한 수출기업의 숨통을 틔워준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
12일 부산항 북항 감만부두에 컨테이너가 빼곡히 쌓여 있다.
정부는 ‘물류 대란’을 겪는 부산신항에 대체 장치장을 운영한다.
|
산업통상자원부는12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3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수출입 물류 동향 점검 및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홍 부총리는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유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물류 초과 수요와 고운임 상황이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현재 부산신항은 선적 지연과 입항 차질 등의 여파로 물류 적체를 넘어 시설 마비 사태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부산신항 터미널 외부에 대체 장치장을 운영하기로 했다. 장치장은 수출입 물품을 임시로 보관하는 장소다.
구체적으로 웅동배후단지 1단계 부지에 3416TEU(1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 규모를 수용할 수 있는 부지를 제공한다.
필요 시 인접 부두와 배후 단지까지 추가로 활용해 컨테이너 적치 공간 확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부산신항 1·4부두 포화 시 인접한 다목적 부두(총수용량 4179TEU·현 여유공간 800TEU)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홍 부총리는 “아울러 부족한 컨테이너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연말까지 6만 개를 공급할 것”이라며
“부산신항 등에서 자동차 운반선이 일시적으로 양륙할 경우 신고 절차도 생략해 줄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해상운임 급등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해 이달 중 미주 동부와 서부 항로를 대상으로 각각 임시 선박 1척과 5척을 투입하기로 했다.
유럽 항로에는 다음 달 말까지 1만6000TEU급 신조선박 총 6척을 매주 1척씩 투입한다.
아울러 올해 중소·중견기업 운임지원 규모를 기존 70억 원에서 121억 원으로 확대하고,
물류비 지원 한도 역시 기업당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증액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