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운임지수 3000 육박…작년 대비 3.6배
미주 1FEU 5000달러…단기계약 중소기업 비명
최근 물동량 증가와 수에즈 운하 사고, 항만 근로자 코로나19 확진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해상운임이 급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약정된 금액으로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대기업과 달리 운임 상승분이 그대로 반영되는 단기계약(스폿)을 이용하는 수출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큰 상황이다. 사진은 수출 화물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부산항. 사진/연합뉴스
최근 해상운임 상승세가 너무 가파르다.
올해 초 지난해 운임의 3배 수준에서 출발한 해상 운임은 2분기 들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약정된 금액으로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대기업과 달리 운임 상승분이 그대로 반영되는 단기계약(스폿)을 주로 이용하는 중소기업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현장에선 2~3배 높은 운임을 주고라도 수출 화물을 선적하고 싶지만 배가 없어 이마저도 어려운 실정이다.
28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 운송 15개 항로의 운임을 종합한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3일 전주 대비 146.34포인트 오른
2979.76을 기록했다. SCFI가 2009년 10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 수치다.
지난해 같은 날 818.16을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1년 새 3.6배로 뛰어올랐다.
SCFI는 경기 회복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선사들의 선복량 조절로 지난해 11월 이후 매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올해 초 작년 동기 대비 3배 수준까지 치솟았다.
국내 수출기업들이 주로 이용하는 미주 서안과 유럽 노선 운임도 같은 날 각각 1FEU(40피트 컨테이너 1개)당 4967달러,
1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당 4325달러를 찍으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SCFI에 맞물려 철광석과 석탄, 곡물 등을 실어나르는 벌크선 운임(발틱운임지수·BDI)도 지난 26일 1년 전의 3배인 2808을 기록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운임이 적용되고 있다.
해운 관련 외신인 로드스타는 2분기 들어 주요 항로 운임이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며 영국 포워더(물류운송주선업체) NVOCC가
다음 달 중국~영국 노선 FAK(품목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하는 운임) 최저요금을 1FEU당 1만3500달러를 제안받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해운운임 상승세는 물동량 증가와 이에 따른 주요 항만 정체, 내륙운송 지연, 컨테이너 부족이 맞물려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말 발생한 수에즈운하 사고도 운임 상승세를 키웠다. 주요 기관들은 최소 올해 상반기까지 이러한 고운임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미 높은 운임에 허덕이는 국내 수출기업들은 설상가상의 상황을 맞았다.
현장에서는 미국 동부까지 한 개의 컨테이너 화물을 보내는데 실제 운임의 두 배가 넘는 1만 달러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지만
이 금액을 지불해도 화물을 실을 배가 없는 상황이다.
또 국내 기업들은 중국에서 출발해 한국에서 남은 선적공간에 채우고 미국 등으로 향하는 해외 선사의 컨테이너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최근 물동량 증가로 중국에서 이미 배에 화물이 다 채워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항공·해상운임 상승에 따라 피해를 본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비 지원 신청을 내달까지 받고 있는데
이미 500여 곳이 신청하고, 문의가 잇따르는 상황이다.
HMM도 임시선박 투입에 더해 중소기업에 선복량 일부를 우선 제공하고 있다.
HMM이 지난해 8월부터 투입한 임시선박은 미주 서안 노선 12회, 미주 동안 노선 3회, 러시아 노선 3회, 유럽 노선 2회 등 총 21척에 이른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HMM 등 국적선사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역부족”이라며
“물동량 증가와 수에즈 운하 사고, 항만 근로자 코로나19 확진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해상으로 수출길이 무너진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출처 : 중소기업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