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금액 11.4% 확대…3개월 연속↑
반도체 수출량 19.4%, 수출액 18.5% 늘어
 |
▲자료=한국은행.
|
1월 우리나라 수출 물량과 금액이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약 10% 내외로 늘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 기준) 통계를 보면 1월 수출물량지수(114.20)는 1년 전보다 8% 상승했다.
지난해 9월 이후 5개월 연속 상승세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25.8%), 전기장비(17.8%), 컴퓨터·전자·광학기기(15.6%)의 상승 폭이 컸다.
반면 석탄·석유제품(-35.1%), 기계·장비(-12.1%), 농림수산품(-10.2%) 등은 하락했다.
1월 수출금액지수(110.32)는 1년 전과 비교해 11.4% 올랐다. 3개월째 오름세다.
물량지수와 마찬가지로 운송장비(26.7%), 컴퓨터·전자·광학기기(23.3%), 화학제품(22.8%), 전기장비(21.2%)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내 반도체 지수만 보면 1년 전과 비교해 수출양은 19.4%, 수출액은 18.5% 뛰었다.
1월 수입물량지수(122.73)와 수입금액지수(123.50)도 전년 동기 대비 8.2%, 4.3% 각각 올랐다.
특히 컴퓨터·전자·광학기기의 수입물량·금액지수 상승률은 각 25.6%, 27.2%였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기준시점(2015년)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다.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단 수입액(통관기준) 중 선박·무기류·항공기·예술품 등은 빠져있다.
이 품목들은 가격 조사가 어려워 수입물가지수를 구하지 못한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년 전보다 7%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수출 가격은 올랐는데 수입 가격이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이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물량지수(8%)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7%) 상승 영향으로 15.5% 상승했다.
소득교역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비대면 관련 산업 수요가 커지고 주요 국가 경제활동도 재개되며,
반도체·휴대전화 등 컴퓨터·전자기기와 운송장비 수출이 늘고 관련 부품 수입도 함께 증가했다"고 말했다.
<출처: 에너지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