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부산신항 서‘컨’ 부두 1곳 증설”
해양수산부 올해 업무계획 보고
- 컨선복량 한진해운 사태 전 회복
정부가 거점항만 개발과 운영 효율화를 위해 부산항 부두 증설 작업을 서두르기로 했다. 부산항 배후단지도 확충한다.
28일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해양수산부 업무계획’을 수립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해수부가 올해 추진할 5대 주요 과제는 ▷수출물류 지원·차질 없는 해운 재건 ▷수산·어촌의 활력 회복과 연안경제권의 균형발전 ▷해양수산 탄소중립 및 해양플라스틱 제로화 ▷해양수산 디지털 전환과 혁신산업 성장 촉진 ▷해양수산분야 안전망 강화·포용기반 정착 등이다.
우선 해수부는 원양 컨테이너 선복량을 한진해운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초대형 컨테이너선 추가 발주 등으로 선복량을 현재 78만 TEU에서 105만 TEU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올해부터 매년 최대 10척의 선박을 매입해 국적선사에 제공한다. 이는 한국형 선주사 육성차원에서 마련됐다.
이럴 경우 올해 해운 매출액은 지난해 추정치(36조 원) 보다 4조 원 늘어난 40조 원에 도달한다.
국적선사 간 협력체인 ‘K-얼라이언스’는 상반기에 출범시켜 아시아 항로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꾀한다.
동남아 항로의 국적선사 선복량을 현재 19만TEU에서 25만TEU까지 늘리기 위해서다.
해수부는 수출물류 지원을 위한 항만 인프라 구축도 병행한다.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스마트 메가포트’로 개발 예정인 부산항 진해신항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가 재추진된다.
12조4000억 원 규모인 이 사업은 지난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수행한 예타 조사에서 기준을 넘지 못해 승인이 일단 보류됐다.
올해 상반기 중 부산신항 서쪽에 컨테이너 부두 1곳을 증설한다. 부산항을 비롯해 인천·광양·평택항에는 모두 436만 ㎡의 항만배후부지가 추가로 조성된다.
아울러 해수부는 2022년 준공 목표인 부산북항1단계 건설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내년에 착공할 2단계 사업에 대해서는 절차 간소화를 통해 신속하게 모든 과정을 이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부산항 스마트공동물류센터도 올해 기본계획을 수립해 2024년까지 완공하기로 했다.
국제사회의 해양쓰레기 감축 노력에 부응하기 위한 대책도 포함했다. 해수부는 친환경 어구·부표 보급을 확대하고 단계적으로 이를 의무화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출처: 국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