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JBG Logistics

해운 물류 뉴스

메일

흥아·장금 '컨'부문 통합…흥아해운 사실상 공중분해

조회 5,825

JBG로지스틱스 2019-11-20 18:30

정부 정책자금 지원받고 사업 분할 후 매각 ‘논란’
 
   
 흥아해운과 장금상선의 컨테이너부문 통합이 사실상 흥아해운의 공중분해로 이어지면서 이를 해운산업 구조조정의 주요 정책사안으로 추진해온 해양수산부가 외국인 대주주에게 이용당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4월 11일 서울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흥아와 장금의 컨테이너부문 통합 기본합의서 서명식 모습. 사진 왼쪽에서 두 번째가 문성혁 해수부장관) [사진제공 : 해수부] 
 
 
 
일본 컨테이너 선사 통합법인인 ONE를 표방한다던,
흥아해운과 장금상선 컨테이너 부문 통합이 사실상 흥아해운의 공중분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부의 해운정책 방향에 논란이 일고 있다.
아울러, 흥아해운의 대주주가 외국인인데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면서도 회사 매각에 대해 어떠한 안전장치도 마련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관련당국의 책임론까지 거세지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흥아해운은 최근 컨테이너선 통합부문을 장금상선에 약 440억 원 가량에, 비컨테이너 부문도 약 112억 원에 카리스국보에 매각키로 결정했다.

 

일본 컨테이너 선사 통합법인인 ONE(Ocean Networks Express) 방식을 표방해 ‘컨’부문만 통합해 별도 운영하고,

비 ‘컨’부문에 대해선 종전대로 각자 기업이 운영케 하겠다는 정부 정책이 틀어진 것이다.

 

앞서 흥아해운은 13일 ‘컨’사업부문에 대한 물적분할을 완료한데 이어 14일 자회사인 ‘흥아해운 컨테이너’ 지분 90%를 360억 원에,

흥아해운 태국법인과 ‘흥아물류(상하이)유한공사’ 지분 100%씩을 각각 65억 원, 21억 원에 장금상선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15일에는 비 ‘컨’사업부문으로 잔존법인인 흥아해운의 대주주인 페이몬트 파트너스와 리얼티디아이파트너스 보유 주식 14.37%를

112억 원에 카리스국보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페이몬트파트너스는 흥아해운의 실제 오너인 이 모 콩힝에이전시 회장이 조세피난처인 버진아일랜드에 세운 페이퍼컴퍼니로,

홍콩인인 이 회장이 이 회사를 통해 흥아해운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흥아해운측은 현재 공식적으로 장금상선에 ‘컨’법인을 매각한 대금으로 한국해양진흥공사에서 지원받았던 400억 원을 상환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비 ‘컨’부문인 잔존법인에 대한 흥아해운의 대주주 지분 매각에 대해선 함구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통해 흥아해운과 장금상선의 ‘컨’부문 통합을 독려해 왔음에 따라, 이같은 상황이 벌어지자 비난여론이 들끓고 있다.

 

해수부는 장금과 흥아 통합을 위해 한국해양진흥공사를 통해 장금상선에 2,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흥아해운은 400억 원이 지원됐다.

 

관련업계는 해수부가 양사를 정부 정책에 협조하는 기업들이라면서 타 아시아역내 ‘컨’선사들의 통합을 유도해 왔는데,

정작 흥아해운이 사업부문을 분할해 매각하는 현 상황에 대해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흥아해운은 해수부가 장금상선과의 ‘컨’부문을 통합하는 방안을 발표하기 이전까지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다.

 

때문에 정부의 이같은 정책은 흥아해운의 경영난을 덜어주는 한줄기 빛과 같았다.

 

이 과정에서 흥아해운의 실제 오너가 ‘홍콩인’이라는 점이 여러차례 언론보도를 통해 공개되자 정부가 외국인 기업을 지원하는 것이 합당한지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결국 이번 지분매각으로 해수부가 외국인 대주주에게 이용당했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것.

 

A ‘컨’선사 관계자는 “장금과 흥아 통합이 일본 ONE 방식을 표방한다는 해수부의 정책발표에,

타 선사도 통합에 동참하라고 수 차례 이야기를 하면서 압박했었는데 상황이 이러니 이건 사실상 공중분해 아니냐”며,

“앞에서 ONE 내세우면서 통합이라고 포장해놓고 실상은 흥아의 외국인 대주주가 지분매각을 강행해 회사가 공중분해될 위기에 놓였는데,

정부정책이 우리 국민도 아닌 사람에게 혜택을 주는 너그러운(?) 것이었느냐”고 분개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도 “외국인 대주주에게까지 정책 지원이 이뤄질 필요가 없다는 점을 해수부에 누차 이야기를 해왔었는데,

끝끝내 해양진흥공사에서 통합을 빌미로 지원금 400억 원이 나갔다”며,

“이미 물적분할이 완료돼 지분을 매각하는 상황인데, 정책자금 지원 후에 지분매각에 대한 어떠한 방지책도 없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상황 자체가 황당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해수부는 흥아해운 ‘컨’부문을 장금상선에 매각하는 내용과 관련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설명해줄 수 없다”고 밝히면서,

비 ‘컨’부문인 잔존법인에 대한 실제 오너 지분매각에 대해선 채권단 측에서 확인중이라고만 답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흥아해운이 장금상선에 ‘컨’법인 완전매각을 하는 것에 대해선 업계가 우려하는 상황은 확실히 아니며, 정부 입장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바란다”며,

“잔존법인에 대해서는 채권단측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카리스국보가 매입하겠다는 의도를 파악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카리스 국보는 지난 4월 흥아해운의 물류자회사인 국보를 인수한 사모펀드 제이에스프라이빗에쿼티가 투자조합을 결성하는 과정에서,

폴리염화비닐(PVC) 전문기업인 카리스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카리스국보로 사명을 변경했다.

 

카리스 국보는 이후 복잡한 증자방식을 거쳐 내달께 코어센드 유한회사로 대주주가 바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등 상황이 미묘하게 전개되고 있다.

 

<출처>데일리로그